건강 생활습관 증진을 위한 생활습관병 클리닉
생활습관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생활지침 안내
생활습관병이란?
식습관, 운동습관, 휴식, 흡연, 음주 등의 생활습관이 질병의 발병이나 진행에 관여하는 질병군으로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등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성인기에 주로 발생하는 의미에서 성인병이라 불리었으나, 이 질환군의 병리기전이 성인이 되기 전에 이미 시작되며, 소아청소년에서 이 질환군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더는 성인병이라 불리지 않습니다.
나쁜 식습관, 운동부족, 흡연, 음주와 같은 건강에 해로운 생활습관이 지속되면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과 같은 생활습관병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병태가 지속되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만성신부전, 악성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병이 발생하고, 결국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생활습관병 도미노
생활습관병은 도미노와 같습니다. 도미노는 첫 번째 조각이 쓰러지면 뒤에 있는 조각들이 연속해서 쓰러지는 놀이입니다. 식습관과 운동습관과 같은 생활습관 조각이 무너지면 복부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이 넘어지고, 그 결과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선행질환조각이 쓰러진다. 도미노 조각이 넘어지다 보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중증 질환 조각이 무너지게 된는 것입니다.
지금 넘어지고 있는 도미노 조각에만 신경을 써서는 전체 도미노가 넘어지는 것을 예방 관리할 수 없습니다. 중증질환 조각이 무너져 있다면 그 위쪽에 원인이 되는 선행 도미노 조각이 넘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고혈압으로 진단되었다면 협압을 낮추기 위해 혈압약만 복용하기보다 그 사람의 혈압을 높이는데 기여한 생활습관 요인을 찾아 함께 교정해야 합니다.
생활습관병을 왜 관리해야 하나?
생활습관병은 다양한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나이, 성별, 인종, 유전자 등의 위험요인은 생활습관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의 노력으로 교정 가능하지 않습니다.
식습관, 운동습관, 흡연, 음주와 같은 생활습관은 개인의 노력으로 교정 가능하며, 건강한 생활습관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면 질병 진행을 늦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질병 발생을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생활습관병의 치료는 생활습관 관리와 약물치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다 하여 혈압을 낮추는 생활습관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닙니다. 진료시간에 쫓기고, 생활습관 관리법에 대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의사들은 약물에만 의존할 뿐 환자의 생활습관에 대한 적절한 상담은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백병원 생활습관병 클리닉의 장점
① 다양한 생활습관 전문가들과 협력적 접근
② 생활습관 관리와 약물치료의 다각적 접근
③ 근거에 기반한 생활습관 관리
④ 환자의 능동적 역할 강조
⑤ 단 회 교육이 아닌 연속적 관리
⑥ 동반질환 발생 시 다학제 협진
서울백병원 생활습관 클리닉에서는 임상의사, 교육간호사, 임상영양사, 임상운동사 등 다양한 생활습관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생활습관병 치료에 필수적인 식습관,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을 관리해 드립니다.
생활습관병 클리닉 진료대상
①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병, 대사증후군 환자
② 질병 예방을 원하는 고혈압 전 단계, 당뇨병 전 단계 환자
③ 건강한 방법으로 체중을 관리하기 원하는 사람
④ 건강한 생활습관을 증진하기 원하는 모든 사람
서울백병원 생활습관병 클리닉은 어떻게 운영되나?
-
1단계
등록
서울백병원 생활습관병 클리닉 등록
-
2단계
담당교수 진료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조영규 교수
-
3단계
평가
설문평가: 질병력, 가족력, 생활습관
유전자 검사(선택): 질병 발생 위험 평가
신체검사: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성분 측정, 혈압
임상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흉부 X-선 검사, 심전도
합병증 검사(필요시): 복부 초음파, 심장 초음파, 경동맥 초음파, 뇌 MRA
-
4단계
생활습관 상담
교육간호사: 생활습관 평가, 질병 교육, 상담 일정 수립
임상영양사: 식습관 평가, 영양 교육, 비만 관리
임상운동사: 운동 습관 평가, 체력 평가, 운동 지도
-
5단계
담당교수 진료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조영규 교수